본문 바로가기

공부33

"남들 읽기 좋게 짜라" 그 한마디에 시작된 나의 클린 코드 나는 5년간 중소기업에서 선배 없이 개발을 해왔다.내 유일한 윗사람이었던 팀장은 개발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랑 나눈 적이 거의 없다.내가 기억하는 개발과 관련된 조언은 딱 두 가지였다. 1. 잘되는 코드를 함부로 건드리지 마라2. 남들이 읽기 좋게 코드를 써라 이 두 가지는 내가 회사생활을 하는 동안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많이 노력했었다.내 후임으로 들어왔던 동료들에게도 강조했던 내용이기도 하고...물론 잘되는 코드를 함부로 건드리지 말라는 좀 다시 생각해 봐야겠지만, 남들이 읽기 좋게 코드를 쓰라는 것은 정말 중요한 것 같다. 커밋메시지를 대충 쓰거나 코드 분석을 제대로 안 하고 중복되는 변수나 함수들을 만들어 쓰는 것은 이해를 하고 넘어갔다.이런 부분은 내가 리팩터링.. 2025. 7. 14.
React, Spring Security 기반 권한 관리(RBAC) 시스템 검토 RBACRBAC란 Role Based Access Control을 말한다.즉, 역할 기반으로 페이지나 기능의 접근을 제어하는 보안 및 권한에 관련된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게시물을 보는 권한만을 갖고 있다.관리자는 유저가 갖고 있는 권한에 더불어 게시물 등록과 사용자 관리 등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사용자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웹사이트의 기능을 사용할 권한을 부여받고 있다.이 역할과 권한을 관리하는 것을 RBAC이라고 말한다. 위의 그림에서 만약 사용자에게 내부 게시판에 게시물을 등록할 권한을 주고 싶다면 사용자에게 admin 역할을 부여해야 하는 건가?그러면 그 사용자는 게시물 등록뿐 아니라 사용자를 관리하는 권한마저 모두 갖게 될 것이다.이런 경우, 사용자의 역할은 사용자로.. 2025. 7. 6.
[오픈소스] 사수 없이 막막했던 신입 시절, 나를 성장시킨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처음 알게 된 건 2020년도 6월에 국비학원을 수료할 때쯤이었다.강사님이 7월에 무료 교육일정이 있고, 수업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을 때 들어보라고 하셔서 신청해서 수업을 들었었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위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인력과 예산이 많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공공사업에 참여할 때, 검증된 프레임워크와 검증된 모듈들로 빠른 개발 속도와 좋은 품질의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나도 전 회사에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개발 IDE를 이용해서 개발했다.선배가 없는 환경이었다 보니,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 땐 표준프레임워크의 컴포넌트들을 공부해서 구조를 잡고 기능 개발을 했었다.요즘은 실력도 올라갔고... AI를 통해 고민을 같이 하다 보니 조금 뜸해졌지만, .. 2025. 7. 5.
[Gemini] 구글의 새 AI 도구, Gemini CLI에게 주식 조사를 시켜봤습니다 (결과물 포함) 얼마 전 Google에서 개발자들에게 뿌리는 메일을 수신했다. Gemini CLI에 대한 내용이다.지금 당장 시험해 보세요라고 쓰여있는 파란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가지 예제가 들어있는 github page로 이동하게 된다.역시 구글답게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만 있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예제를 제공했기 때문에 가볍게 따라 해봤다. Clone Repository아래의 링크는 위의 파란 버튼과 이어진 github 링크이다.https://github.com/google-gemini/gemini-cli GitHub - google-gemini/gemini-cli: An open-source AI agent that brings the power of Gemini directly into your term.. 2025. 7. 4.
[html] 웹 개발자를 위한 iframe 사용법과 팁 (feat. 티스토리 연동) 이번에 업무를 하면서 iFrame 태그를 사용해야 하는 일이 생길 것 같다.그래서 iFrame 태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iframe이란?A라는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를 B라는 웹사이트에 삽입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이런 식으로 다른 웹사이트의 페이지 전체를 이식해 올 수 있다.아래는 내가 예전에 만든 간단한 웹서비스 페이지를 이식한 것이다. 이처럼 다른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를 불러와서 내 웹사이트에 삽입하는 태그가 iframe 태그이다. iframe 사용의 장점iframe 태그를 이용하면 기능 접근 가능한 웹페이지의 기능을 매우 빠르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또한, 기존 페이지의 UI/UX를 100% 동일하게 보여줄 수 있다. 즉, 회.. 2025.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