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5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로 정적 파일을 요청하는 과정 사용자는 브라우저(Chrome, Edge)를 이용해 인터넷을 서핑한다.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해당 주소와 연결된 웹 서버가 존재한다면, 사용자에게 그 주소에 연결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강의와 유튜브, 그리고 내가 알고 있던 지식을 종합해서 정리한 클라이언트의 웹 문서 요청 순서도.위의 기능 중 내가 실제로 인지하고 있던건 그렇게 많지 않았던 것 같다.이번 기회에 서버와 브라우저의 통신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이해하고 넘어가야겠다. 1. URL 입력사용자는 브라우저에 URL을 작성한다.브라우저는 이 행위를 수행할 때,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줘야 할지, 이것이 웹의 리소스를 요청하는 명령인지 파악해야 한다. 2. 브라우저 내부 처리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요청한 문서가 캐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서비.. 2025. 4. 22. 도메인 주도 개발(Domain Driven Development) 이직 공고를 찾아보다가 "DDD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가능하신 분"이라는 문구를 발견했다. 그런데 DDD가 뭐지? 궁금해서 가볍게 공부해보았다. DDD란?DDD(Domain-Driven Design, 도메인 주도 설계)는 말 그대로 도메인(업무 영역)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쉽게 말해, "비즈니스 로직을 객체에 내재화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보통 웹 개발을 할 때, 우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데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서비스가 커지고 비즈니스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데이터 중심 설계는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여기서 등장하는 개념이 DDD다. 기존 방식 vs DDD 방식기존의 웹 개발에서는 **심판(서비스 계층)**이 모든 게임 규칙을 관리하고,.. 2025. 3. 18. HTTP, 웹을 움직이는 핵심 프로토콜 1. HTTP의 시작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입니다. 1989년, 팀 버너스-리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을 제안하면서 HTTP가 탄생했습니다. 초기의 HTTP 0.9는 단순한 요청-응답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면 HTML 문서 하나만 전송하는 구조였습니다. 이후 1996년 HTTP/1.0이 등장하면서 헤더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고, 1997년 HTTP/1.1이 표준화되면서 성능 개선과 연결 재사용(persistent connection)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2. HTTP 이전의 웹HTTP가 등장하기 전에도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존재했지만, 지금.. 2025. 3. 9. AWS MFA 인증 문제 해결기 최근 도메인 연결을 위해 오랜만에 AWS에 접속했다. 그런데 로그인을 시도하는 순간,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MFA 인증 요청로그인 과정에서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했는데, MFA(다중 인증) 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떴다. 문제는 내가 MFA를 설정한 기억이 없다는 것!당연히 설정을 했으니까 나오긴 하는데, 도저히 기억이 나지 않았다.Multi-Factor Authentication(MFA): AWS에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가 인증 방식으로, OTP(일회용 비밀번호) 등의 방법이 존재한다. AWS의 대체 인증 방법 사용AWS라면 다른 접속 수단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MFA 문제 해결" 버튼을 눌렀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선택지가 나온다.대체 인증 방법을 사용하여 로그인AWS 지.. 2025. 3. 7. 블로그에 도메인 연결하기 1. 도메인 연결을 결심하다AWS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입했지만, 막상 티스토리 블로그에 연결하려고 보니 설정할 게 많았다. 처음에는 단순히 도메인을 입력하면 끝날 줄 알았지만, 호스트 업체에서 수정해야 할 사항들이 많았다. 다음번에 같은 과정을 반복할 때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기록을 남겨둔다. 2.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개인 도메인 설정하기먼저,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에서 관리 > 블로그 탭으로 이동하면 중간 즈음에 개인 도메인 설정 메뉴가 있다. 나는 이미 연결을 해둔 상태라 설정된 화면이 보였지만, 처음 접속하면 연결하기 버튼이 존재한다.이 버튼을 누르면 도메인 입력 화면이 나온다. 여기에 사용할 개인 도메인을 입력하면 된다.이때, 자세히 보기를 클릭하면 네임서버에서 설정해야 할 항목들이 .. 2025. 3.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