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구글맵과 지도 데이터, 그리고 보안

by 꾸돼지 2025. 3. 16.

관심있는 내용이 있어서 공유해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20971?type=journalists

 

"한국에만 안 돼요"…외국인 관광 불편 1위 '구글맵 불통'[구글 韓지도욕①]

"한국에는 카카오맵이나 네이버 지도가 아니면 길을 찾을 수 없다. 외국인이 힘들어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 여행 중 아쉬운 부문 중 하나로 교통 정보 부족을 꼽는다. 한국관광공사 외래관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20993

 

구글에 고정밀 지도 주면 '관광 장벽' 풀릴까[구글 韓지도욕②]

구글이 9년 만에 한국 고정밀 지도 데이터를 요구하면서 정부 고민이 커지고 있다. 이미 두 차례 안보·산업적 사유로 지도 해외 반출을 거부했으나 최근 국제 정세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미국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21011

 

고정밀 지도 함부로 내주지 못하는 이유…주권·안보 직결[구글 韓지도욕③]

정부뿐만 아니라 국내 IT업계·학계가 구글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해외 반출 요청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안보·영토 주권 차원 때문도 있다. 이미 구글은 국내외 불문하고 보안·군사시설

n.news.naver.com

 

내 경험담

나는 국내 지도 데이터 및 위성 영상 관련 업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다.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추진할 때마다 보안 심사에서 난항을 겪곤 했다. 특히, 지도 데이터는 군사 시설과 같은 민감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당국의 보안 감사를 통과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과 한국 정부의 지도 반출 논쟁을 보면, 양측의 입장이 모두 이해된다.

 

한국의 특수성

그런데 저게 불필요한 규제는 아니다...

대부분의 지도 앱에서는 좌표를 제공해준다. 

군사시설이 지도에 표시되는 순간, 누구든지 해당 군사시설의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좁은 지역에 폭격의 대상물이 지나치게 많다.

 

군사시설, 주유시설, 발전소, 연구소 등등...

대한민국은 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처럼 언제든지 전쟁이 나기 쉬운 지리적 환경에 있는 국가이다.

북한, 중국, 일본에 의해 본토에서 타격할 수 있는 군사적 약점이 드러나는 것은 아무래도 위험하다.

 

현실

그런데 이미 구글어스에선 한국의 모든 군사시설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내가 근무했던 부대 내의 내 운동 코스나, 비밀 장소 들도 다 보이는 수준이다.

네이버, 카카오 맵에서는 보이지 않는 장소인데, 구글어스로 보면 탱크가 바로 보인다.

 

위성은 지구를 하루에도 수회 공전한다.

그러다보니 궤도에 따라 한반도가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 이시간에도 우리 머리 위에 떠있는 위성은 우리 머리 위를 찍고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위성 뿐 아니라, 외국 위성도 마찬가지다.

 

 

위성영상 처리

위성영상은 용량도 크고, 매 장 영상을 분석하는 것도 꽤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그걸 이용해서 구글어스에 사용하는 형식의 데이터를 생산해나갈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국의 보안시설 필터를 넣겠다는건, 구글 입장에선 최선의 방안일 것이다.

다만 기업에서 필터를 넣으려면 정확한 좌표(Polygon)이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모든 영상에서 사람이 보면서 보안 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필터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니까.

 

만약 기업에 정확한 좌표를 제공하지 않겠다면, 그와 동등한 품질의 데이터를 한국 정부에서 만들어서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게 가능했다면, 우리나라의 지도 서비스가 구글을 뛰어넘어있겠지...

 

 

이 위성 이미지는 우리나라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보안시설의 이미지다.

척봐도 부자연스러운데.. 구글어스로 저 위치를 확인해보면...^^

 

 

전망

구글이 요구하는 좌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겠다면, 정부는 이에 상응하는 품질의 데이터를 직접 만들어서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한국이 구글에서 요구하는 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 같다. 

그리고 그렇게 보안처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것 자체가 이미 노출되는 것과 마찬가지기도 하고...

 

위의 시리즈 기사는 종종 확인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