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 [에세이] 놀랍도록 닮은 임진왜란과 탄핵 정국 - 비판 https://n.news.naver.com/article/262/0000018200?cds=news_media_pc&type=editn [에세이] 놀랍도록 닮은 임진왜란과 탄핵 정국탐욕 억제하고 공포 극복해야 승자가 된다 빈농의 아들로 태어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시대를 마감한 후 위로는 다이묘(영주)들을 통제하기 위해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고, 아래로는 병·농n.news.naver.com 임진왜란과 현대 정치를 비교하는 글을 봤는데, 좀 어이가 없었다. 역사적 사건을 가져와서 현대 정치와 연결하는 방식 자체가 나쁠 건 없지만, 어디까지나 맥락이 맞아야 하는 법이다. 그런데 이 글은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대입하면서, 억지로 특정 정당을 비판하려고 했다. 그럴듯한 비교가 되어야 머리속.. 2025. 3. 11. 2. 비전공자의 국비학원 선택: 웹개발 중심 국비학원을 고민하는 사람들 중에서 어떤 수업을 들어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과정이 다양하기 때문에 웹 개발, 인공지능, 임베디드, 보안 등 여러 분야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막막할 수밖에 없다.특히 개발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내가 웹 개발을 배워도 될까?”라는 고민이 들기도 한다. 나 역시 국비학원을 통해 웹 개발을 배웠고, 비슷한 고민을 했기 때문에 이 글이 같은 길을 가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1. 국비학원을 선택한 이유국비학원을 선택한 이유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개발 경험이 없지만 IT 분야에 도전하고 싶은 사람, 기존 직무에서 개발자로 전향하려는 사람, 또는 취업을 준비하면서 웹 개발을 배우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나는 국비학원을 통해 웹 개발을 배우기로 .. 2025. 3. 11. 1. 비전공자의 국비학원 선택: 어떤 강의를 들어야 할까? 국비 과정들을 살펴보면 수많은 과정들이 존재하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어떤 강의를 선택해야 하는지 고민이 된다.다음과 같은 리스트를 읽어보고, 강좌 선택과 상담에 앞서 먼저 생각해 보자. 1. 나는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 오랜 시간과 자원을 투자했는데, 막상 배우고나니 내가 원했던 분야가 아닐 수도 있다.나의 경우는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었다. 외삼촌의 회사에서 실험장치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의뢰를 많이 했었기 때문에 내가 개발을 배워 부업으로 일을 받아서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는 아무것도 몰랐고, 가장 많은 개발자 과정이 있는 웹개발을 선택했었다.몇 년의 경력이 쌓인 지금은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도 다룰 수 있게 되었지만...만약 조금 더 명확하게 진로를 정했다면.. 2025. 3. 10. 0. 국비 학원을 수강한 비전공자 이야기 동기저는 대학교를 31세에 졸업했습니다. 그동안 여러 가지 일을 경험했어요. 스타트업에서 일해보기도 했고, 전공을 살려 제조업체에서 행정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고, 결국 제 전공을 프로그램 개발로 삼고 싶어졌습니다. 알아본 것제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배우기로 결심한 당시, 코로나 이전이라 지금처럼 국비 학원이 많지 않았습니다. 정보도 충분하지 않아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어요. 결국 빠르게 시작할 수 있는 과정을 찾아 학원 상담을 받게 되었습니다.상담을 통해 학원에서는 단과 과정으로 Java 수업을 먼저 들어보고, 적성에 맞으면 국비 과정을 듣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Java를 먼저 배워보기로 했습니다. 사.. 2025. 3. 10. HTTP, 웹을 움직이는 핵심 프로토콜 1. HTTP의 시작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입니다. 1989년, 팀 버너스-리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을 제안하면서 HTTP가 탄생했습니다. 초기의 HTTP 0.9는 단순한 요청-응답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면 HTML 문서 하나만 전송하는 구조였습니다. 이후 1996년 HTTP/1.0이 등장하면서 헤더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고, 1997년 HTTP/1.1이 표준화되면서 성능 개선과 연결 재사용(persistent connection)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2. HTTP 이전의 웹HTTP가 등장하기 전에도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존재했지만, 지금.. 2025. 3. 9. 이전 1 2 3 4 5 다음